7.3. 가격 안정화 메커니즘
3암호화폐 프로젝트의 가격 안정화는 생태계 전체의 균형잡힌 성장이 없이 가격 Manipulation 등의 행위로 간주될 수 있는 행위들을 정보 취득의 불합리한 비형평성으로 기인된 시장 실패를 인정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가격 결정은 해당 화폐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지만, 비즈니스 모델과 노드 운영으로 인한 토큰의 배포는 생태계의 확장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입니다. 게다가 이를 통제할만한 자율적인 규제원칙을 정하여 각 노드들의 생태계내의 역할과 책임을 정의하고 본 생태계의 참여자로서의 노드들간의 사회적 합의를 스마트컨트렉트로 구현하는 것은 모든 프로젝트의 영원한 숙제이다. 리퀴드 De-Fi는 리퀴드(LQD)의 생태계내의 엑티브한 화폐의 유통량 공급에도 불구하고 알고리즘화된 유통량 통제기법과 가격안정화 매커니즘에 대한 정의를 공개하고 안정적인 최적화의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앞으로 몇년간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시험을 마친뒤 성공적인 암호화 프로젝트로 남기를 희망합니다.
더 많은 노드들의 시장참여는 더 안정적인 생태계 활성화에 큰 힘이 됩니다. 우리는 리퀴드 커뮤니티의 성공적인 확장을 지지하는 열열한 지지자의 적극적인 시장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7.3.1. LQD 공정가격 제도
LQD 공정가격이란 LQD는 언더라잉 에셋의 수익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ALPHA라는 시큐리티 토큰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므로 이해관계자의 행동양식과 경제행위에 대한 수학적 분석과 예측을 통해 사업목적에 맞는 최적화된 가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본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가격으로 수요와 공급의 적정한 볼륨을 예측한 가격모델을 공정가격이라는 이름의 결과물로 공시합니다.
LQD의 유통가격은 언제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속가능하고 신뢰도 높은 가상화폐 경제구조를 유지하기 위해하지만, 지나친 인플레이션이나 급격한 유통량의 변화로 인해 LQD의 가격하락은 LQD생태계의 참여자들에게 위협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프로젝트에서 ALPHA취득시 보너스로 지급되는 LQD의 숫자는 공식채널을 통해 공시되는 공정가격기준으로 지급됩니다. 공정가격(Fair Price)과 시장가격(Market Price)은 언제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공정가격은 급격한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LQD 공정가격은 갑작스런 확인되지 않은 소문, 큰 수량의 일시적 매도, 악의적인 생태계 훼손 또는 가격하락 유도후 매집하는 시장교란 행위 등으로 가격이 무너질때, 공정가격은 개인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공정가격은 시장에 유통되는 정확한 LQD의 수량과 수요를 기반으로 발표된 가격이므로 본 생태계의 노드참여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가격방향성이라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분명히 현명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LQD의 보상 기준은 언제나 이 공정가격 기준으로 지급되므로 급격한 시장가격과의 차이는 좁혀질 수 밖에 없습니다.
7.3.2. LQD유통량 증감에 따른 대응원칙
7.3.2.1. 통화량 증감에 따른 스테이킹 이자율 조정
유통량 증가 요인
유통량감소 요인
S1
일총채굴량
D1
일 노드판매결제수량
S2
NFT상품으로 보상받은 수량
D2
NFT상품판매 결제수량
신규유저의 토큰매수
D3
신규유저의 토큰매수
a) 유통량 증가 총액(S1+S2) - 유통량 감소 총액(D1 +D2 + D3) > 1 일때 통화량이 증가하므로
-> 금리하락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스테이킹보상, NFT 토큰의 서비스 토큰 배정 수량을 감소시켜 유통량 증가속도를 둔화 시킵니다.
b) 유통량 증가 총액(S1+S2) - 유통량 감소 총액(D1 +D2 + D3) < 1일때 통화량이 감소하므로
-> 금리상승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스테이킹보상, NFT 토큰의 서비스 토큰 배정 수량을 증가시켜 유통량 증가속도를 증대 시킵니다.
c) 신규투자자의 순유입율
Net New Investment Rate= D3 / D1 = 신규투자자의 토큰 시장매수수량 / 총 노드판매에 결제된 토큰수량
신규투자자의 순유입비율을 20~30% 정도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다.
d) 실매출 현금 흐름 창출액
회사의 실질적인 캐시플로우가 되는 유형계산 : (D1-(전기 누적채굴량 - 당기 누적채굴량)) + D3 (신규 유저의 토큰매수)
7.3.2.2.통화량 증가속도의 증감에 따른 공정가격 통제 정책
유통량의 증가속도는 다음과 같다.
위협상태
유통량감소 요인
상태
유통량 증가 커브의 기울기(미분계수) > 1
상태
유통량 증가 커브의 기울기(미분계수) < 1
대응
공정가격을 시가보다 높게유지
대응
공정가격을 시가보다 낮게유지
효과
노드 판매시 회수되는 토큰의 수량을 감소시켜 유통량 증가커브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유도
효과
노드 판매시 회수되는 토큰의 수량을 증가시켜 유통량 증가커브의 기울기가 커지도록 유도
7.3.3. 공정 가격 결정 모델 (Peter Lynch’s Fair Value Model)
리퀴드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이지만 전통적인 금융시장에서 Peter Lynch가 사용했던 Fair Value Model을 응용하여 리퀴드에 최적화된 공정가격 결정모델을 도출하여습니다.
Peter Lynch의 Fair Value Model은 다음과 같다.
이 모델을 활용하여 LiQuiD Prime’s Fair Value 공식을 다음과 같이 응용개발하였다.
Peter Lynch에 따르면 비율 값 = 1은 해당 주식이 공정한 가치로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Peter Lynch는 공정 가치 비율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기초로 가상자산의 LQD의 공정가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합니다. LiQuiD Prime의 공정가격(LFV)은 값 = 1 일때 LQD이 공정 가격에서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LFV의 값으로 다음과 같은 평가가 가능하고 이에 맞는 공정가격을 지표로 삼아 공정가격 결정을 통해 시장가격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LiQuiD Prime’s Fair Value(LFV)
LQD 가치 해석
대응 방향
1 보다 작을때
과대평가된 상태
투자자 경고
1 일때
공정한 한 시장가격 상태
2 일때
저평가된 상태
투자 권고
3 보다 클때
매우 저평가된 상태
매수추천
7.3.4. 노드판매량의 증감추이
노드판매량 증가속도가 일정한 경우를 Fair Premium Factor = 0로 보고, 30%정도 지속상승을 하는 경우의 Fair Premium Factor = 0.3으로 봅니다. 늘 노드판매량은 30%로 상승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노드 판매량이 감소하는 경우 해당 미판매분의 미채굴 물량은 리저브 풀로 이동하여 시장가격 하락을 촉진하는 물량의 이동을 방지합니다.
Last updated